중호네 강아지가 호랑이에게 물려갔다. 목줄을 풀어 놓은 게 화근이었다. 산책로와 숲의 경계에 ‘호랑이 출몰지역’ 이란 경고판이 있었지만 개는 문맹이었고 경고를 수용할 수 없었다. “개에게 글을 가르칠 수 있다면 개의 평균수명이 급격히 늘어날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개의 기호학적 인지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이 애견가들에 의해 지원 받아야 한다.” 캐리먼 박사의 이러한 주장을 상기시키는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캐리먼 박사는 캐나다 모리스큐 대학에서 동물의 기호인지학에 대해 연구하는 러시아계 미국인이다. 저서로는 87년 제너럴픽스 사에서 발간한 ‘개한테 개 이상의 것을 기대하는 것이 잘못인가요?’ 외에 수권이 있다. 호랑이가 출몰하는 숲은 마을 외곽에 있는 산책로와 뒷산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었다. 숲은 작은 관목과 다양한 야생화들로 채워져 있었고 뜨문뜨문 굴참나무가 자라고 있어서 마을사람들에게는 굴참나무 숲으로 불렸다. 숲 뒤의 산은 일명 곰매산으로 산적의 산채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굴참나무숲에서는 호랑이가, 곰매산에서는 산적이 출몰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가급적 이 곳을 관통하는 지름길 대신 숲과 산의 옆자락으로 난 길을 이용해야 했다. 간혹 출근시간이 늦어 질까봐 숲을 가로 질러 가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럴 때는 여럿이 무리를 지어야 호랑이의 습격을 피할 수 있었다. 개를 잃은 중호는 올해로 여섯 살이고 ‘큰꿈어린이집’ 원생이었다. 중호는 마당에 오래된 우물이 있는 2층 양옥 집에 살고 있었고 오른 쪽에는 옅은 자주색 지붕에 연두색 담으로 둘러싸인 아담한 단층 양옥집이 있었다. 이 이웃집에는 중호보다 한살 어린 여자아이가 살고 있었는데 이름은 ‘연주’이고 ‘포아로’ 라는 이름의 고양이를 기르고 있었다. 동네 사람들은 이 포아로 덕에 마을이 호랑이나 산적의 습격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 하고 있었다. 포아로는 평범한 고양이가 아니었다. 포아로의 식사담당은 연주인데 기분에 따라 사료의 종류와 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