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앙묘번생인 게시물 표시

금왕읍 용계리 마을 풍경

조선 천재 최춘삼 굴참나무숲에 갇히다

최춘삼의 호는 해연이고 자는 지공이었다. 선조 말엽 황해도 연남지방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가 갖바치여서 자연스레 어려서부터 각종 도구를 손에 익히며 자라 났다. 타고난 손재주와 과학적 천재성을 바탕으로 16세때 기체역학에 의한 6기통 제트엔진을 설계하였으며 이 엔진을 우물에 장착해 아낙네들이 물바가지를 끌어올리는 수고를 덜어주었다. 26세 되던 해 시간이동기구 제작을 목표로 연구와 실험에 몰두하였으며 7년 후인 1612년에 시간이동기구를 완성하여 실험운행에 착수하였다. 최초 집에서 기르던 은실이(암캐, 6세)를 탑승시킨 후 기구를 작동해 본 결과 개가 타임시프트에 합류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사흘 후 시대를 증명할 만한 몇몇 물건과 휴대용품, 주먹밥 이틀치를 챙긴 후 자신이 직접 기구에 탑승하게 되었다. 다시 현재로 돌아 와서 최춘삼은 지금 능내리에 머물고 있다. 능내리는 중호와 연주가 살고 있는 인구 1,200 정도의 아주 작은 마을이다. 최초 춘삼이 도착한 곳은 산책로를 사이에 두고 굴참나무숲의 맞은 편에 위치한 놀이터였는데 여기서 목격한 것은 머리를 짧게 자르고 울굿불굿한 복장을 한 커다란 덩치의 사람들이었다. 조선이 아닌 오랑캐국의 무당마을에 던져진 것으로 확신한 춘삼은 가까운 숲으로 숨어들어 동태를 살피기로 했다. 이틀동안은 주먹밥으로 끼니를 해결했다. 간혹 호랑이에게 추격을 당하기도 했지만 구사일생으로 위기를 모면했고 안전한 거처도 마련할 수 있었다. 허나 삼일째부터는 호구지책이 묘연해 져서 버섯이나 야생마 등을 캐먹게 됐는데 이것도 마땅치 않게 되자 산책로 주변의 먹다남은 음식들에 손을 대기 시작했다. 넘길 때마다 목안을 긁어대는 검은 물은 사약인줄 알았으나 다행히 별 탈이 없었고 뭉크렁한 떡 사이에 떡갈비를 끼워 넣은 음식은 니글거리기 이를 데 없어서 먹기가 여간 곤욕이 아니었다. 하지만 살기 위해선 그런 걸 따질 여유가 없었다. 식량확보를 위해 산책로를 배회하는 일이 잦아지면서 자연스레 오랑캐 무당들을 관찰할 기회 또한 많아졌다.

중호네 강아지 호환을 당하다

중호네 강아지가 호랑이에게 물려갔다. 목줄을 풀어 놓은 게 화근이었다. 산책로와 숲의 경계에 ‘호랑이 출몰지역’ 이란 경고판이 있었지만 개는 문맹이었고 경고를 수용할 수 없었다. “개에게 글을 가르칠 수 있다면 개의 평균수명이 급격히 늘어날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개의 기호학적 인지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이 애견가들에 의해 지원 받아야 한다.” 캐리먼 박사의 이러한 주장을 상기시키는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캐리먼 박사는 캐나다 모리스큐 대학에서 동물의 기호인지학에 대해 연구하는 러시아계 미국인이다. 저서로는 87년 제너럴픽스 사에서 발간한 ‘개한테 개 이상의 것을 기대하는 것이 잘못인가요?’ 외에 수권이 있다. 호랑이가 출몰하는 숲은 마을 외곽에 있는 산책로와 뒷산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었다. 숲은 작은 관목과 다양한 야생화들로 채워져 있었고 뜨문뜨문 굴참나무가 자라고 있어서 마을사람들에게는 굴참나무 숲으로 불렸다. 숲 뒤의 산은 일명 곰매산으로 산적의 산채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굴참나무숲에서는 호랑이가, 곰매산에서는 산적이 출몰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가급적 이 곳을 관통하는 지름길 대신 숲과 산의 옆자락으로 난 길을 이용해야 했다. 간혹 출근시간이 늦어 질까봐 숲을 가로 질러 가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럴 때는 여럿이 무리를 지어야 호랑이의 습격을 피할 수 있었다. 개를 잃은 중호는 올해로 여섯 살이고 ‘큰꿈어린이집’ 원생이었다. 중호는 마당에 오래된 우물이 있는 2층 양옥 집에 살고 있었고 오른 쪽에는 옅은 자주색 지붕에 연두색 담으로 둘러싸인 아담한 단층 양옥집이 있었다. 이 이웃집에는 중호보다 한살 어린 여자아이가 살고 있었는데 이름은 ‘연주’이고 ‘포아로’ 라는 이름의 고양이를 기르고 있었다. 동네 사람들은 이 포아로 덕에 마을이 호랑이나 산적의 습격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 하고 있었다. 포아로는 평범한 고양이가 아니었다. 포아로의 식사담당은 연주인데 기분에 따라 사료의 종류와 양을